반응형
SMALL
기흉이란?
기흉은 폐와 흉벽 사이의 공간(흉강)에 공기가 유입되어 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허탈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과 호흡 곤란을 유발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기흉은 주로 자발성 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나뉜다.
- 자발성 기흉: 폐 질환 없이 발생하는 경우(특발성)와 기존 폐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차성)가 있다.
- 외상성 기흉: 외부 충격, 흉부 수술, 또는 의료 시술 중 폐에 손상이 생겨 발생한다.
기흉 치료법
기흉의 치료는 기흉의 원인, 크기,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1. 관찰 요법
- 증상이 경미하고 기흉의 크기가 작을 때 주로 사용된다.
- 폐가 자연적으로 회복되도록 관찰하면서 산소 공급으로 회복 속도를 돕는다.
2. 흉관 삽입술 (Chest Tube Insertion)
- 기흉이 크거나 증상이 심할 경우 흉벽에 작은 절개를 내고 흉관을 삽입해 공기를 제거한다.
- 흉관은 며칠 동안 유지되며, 폐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공기를 배출한다.
3. 바늘 흉강 천자술 (Needle Aspiration)
-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 바늘과 주사기를 사용해 흉강 내 공기를 제거한다.
- 증상이 경미하거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된다.
4. 흉강경 수술 (Thoracoscopy, VATS)
- 기흉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자발적으로 호전되지 않을 때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진행한다.
- 폐 표면의 공기 누출 부위를 봉합하거나, 재발 방지를 위해 흉막을 일부 제거하거나 유착시킨다.
5. 산소 요법
- 산소를 흡입하면 흉강 내 공기 제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이는 자연 회복을 돕는 치료법으로 병행된다.
기흉 치료 후 부작용
기흉 치료는 대체로 안전하지만, 드물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1. 흉관 삽입술의 부작용
- 통증: 흉관 삽입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 감염: 삽입 부위가 감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독과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출혈: 흉관 삽입 과정에서 혈관 손상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2. 바늘 흉강 천자술의 부작용
- 재발: 천자 후 기흉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
- 기흉 악화: 시술 중 공기 유입으로 기흉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
3. 흉강경 수술의 부작용
- 흉터: 수술 부위에 흉터가 남을 수 있다.
- 폐 기능 저하: 드물게 수술 후 폐 기능이 일시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 유착 문제: 흉막 유착 후 흉부 불편감이나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기흉 환자의 생활 속 주의할 사항
기흉 치료 후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생활 습관을 조정하고 주의가 필요하다.
1. 심한 신체 활동 자제
- 수술 후나 흉관 제거 후에는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격렬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
- 완전히 회복되기 전까지는 운동 강도를 천천히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2. 고도 차이나 기압 변화 주의
- 비행기 탑승이나 스쿠버다이빙처럼 기압 변화가 큰 활동은 피해야 한다.
- 고도 차이가 큰 산행도 피하는 것이 좋다.
3. 금연
- 흡연은 기흉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 흡연자는 기흉 재발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크게 높아진다.
4. 적정 체중 유지
- 과도한 저체중은 자발성 기흉의 위험 요인이 되므로 건강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폐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정기적인 건강 관리
- 재발 방지를 위해 정기적인 흉부 엑스레이 검사를 받아야 한다.
- 폐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며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기흉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다. 치료법은 기흉의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르며, 흉관 삽입, 바늘 흉강 천자, 흉강경 수술 등이 대표적이다. 치료 후에는 부작용에 유의하며 생활 속에서 흡연을 피하고 신체 활동을 조절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기흉은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건강 관리를 철저히 하고,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꾸준한 관리로 건강한 폐와 삶을 유지하길 바란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