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달라지는 정책 및 제도 총정리
2025년부터 시행되는 다양한 새로운 정책과 제도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예정입니다.
출산·육아 지원, 세제 혜택, 교육 개편, 최저임금 인상 등 꼭 알아두어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책을 빠짐없이 확인하세요!
1. 육아 및 가족 지원 정책
육아휴직 기간 연장 및 급여 인상
육아휴직 기간이 기존 1년에서 최대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하면 추가 연장 가능.
육아휴직 급여도 다음과 같이 인상
1~3개월차: 월 최대 250만 원
4~6개월차: 월 최대 200만 원
7개월차 이후: 월 최대 160만 원
기존 사후 지급 방식 폐지 → 급여 수령 편리성 향상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급 기간 10일 → 20일로 확대.
출산 가정의 초기 안정과 육아 참여 지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기존 8세 이하 → 12세 이하(초등학교 6학년 이하)까지 확대.
부모의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확대
지원 대상 중위소득 기준 150% → 200% 확대.
취학아동 가구의 지원 비율 상향.
긴급 돌봄 서비스 부담 완화 및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
2. 세제 혜택 및 금융 지원
혼인 세액공제 신설
2024~2026년 혼인신고자, 1인당 50만 원 세액공제 신설.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대상 확대
무주택 세대주뿐 아니라 배우자도 소득공제 가능.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2025년 1월 13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가 인하됩니다.
고정금리 대출: 기존 1.4% → 0.65%
변동금리 대출: 기존 1.2% → 0.65%
신규 대출 계약부터 적용되며, 기존 대출의 재계약 시 적용 여부는 금융기관에 따라 다름.
3. 청년 및 군인 지원
청년도약계좌 및 장병내일준비적금 지원 확대
정부 지원금 증가 및 가입 대상 확대.
군 병사 봉급 인상 → 이병 기준 100만 원 이상 지급.
4. 교육 제도 개편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학생이 원하는 과목 선택 → 진로 맞춤형 교육 강화.
졸업 기준: 3년간 192학점 이상 이수.
5. 최저임금 인상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 (2024년 9,860원 대비 인상).
노동자의 생활 안정 및 소비 여력 확대 기대.
이 글이 유용했다면 지인들에게 공유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려주세요!

#2025정책변경 #육아휴직 #출산휴가 #세제혜택 #고교학점제 #대출수수료인하 #최저임금 #청년지원 #부모지원 #정부정책 #재테크 #경제뉴스 #생활정보 #정책총정리
'bussiness & economy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에너지 대박? 울릉분지서 추가 석유·가스 발견, 최대 191억 배럴 전망 (1) | 2025.02.03 |
---|---|
2025년을 준비하라! ‘트렌드 코리아 2025’의 10가지 키워드 분석 (5) | 2025.02.01 |
신용 점수 올리는 방법, 부채 관리 전략 (4) | 2025.01.31 |
돈 관리 잘하는 방법 A~Z 까지, 경제적 자유를 위한 실천 가이드 (8) | 2025.01.31 |
2025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사업 신청하기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