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siness & economy/경제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 안내서 내용 요약 총정리

반응형
SMALL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복지 지원이 2025년부터 확대·강화되었습니다. 이번 안내서에서는 임신·출산 지원, 양육·돌봄 지원, 주거·시설 지원, 교육·취업 지원, 금융·법률 지원 등 한부모가족을 위한 맞춤형 지원제도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지원 항목을 정리해드립니다.

1. 임신·출산 지원

한부모가족이 임신과 출산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제공 (임신 1회당 100만 원, 다태아의 경우 태아당 100만 원)
  • 산모 건강관리 지원: 산전 혈액검사, 철분제/엽산제 지원, 모자보건수첩 제공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치료비 지원 (비급여 진료비 90% 지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출산가정 방문 산후 관리 서비스 제공
  • 출산비용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및 긴급복지대상자 1인당 70만 원, 여성장애인 1인당 100만 원 지원
  • 출산지원시설 운영: 숙식 제공, 의료비 지원, 자립 지원
  • 첫만남이용권: 출생아 1인당 200만 원(첫째), 300만 원(둘째 이상) 지급

📞 신청 방법: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복지 상담센터(☎129)

2. 양육·돌봄 지원

한부모가족의 자녀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양육비 지원과 돌봄 서비스가 강화되었습니다.

  • 아동양육비 지원:
    • 18세 미만 아동 1인당 월 23만 원 지급
    •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조손가족 5세 이하 아동 월 5만 원 추가 지원
    • 25~34세 청년 한부모 5세 이하 아동 월 10만 원 추가 지원, 6~18세 아동 월 5만 원 추가 지원
  • 아동교육 지원비(학용품비): 초·중·고등학생 자녀 연 9.3만 원 지원
  • 생활보조금: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가구 월 5만 원 지급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맞벌이·한부모 가정을 위한 돌봄 서비스 제공 (시간제, 종일제 지원)
  • 유치원 유아학비 지원: 3~5세 유아 유치원 학비 및 방과후 과정비 지원
  •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아동 대상 월 28~54만 원 지원
  •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 미이용 영아에게 현금 지급 (월 10만 원~50만 원)
  • 부모급여(영아수당): 0세 100만 원, 1세 50만 원 지급
  • 지역아동센터 운영 지원: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 지원

📞 신청 방법: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로(www.bokjiro.go.kr)

3. 시설·주거 지원

주거 안정이 필요한 한부모가족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주거 지원 및 자립 준비 프로그램 제공
  • 공동생활가정형 매입임대주택 지원: 한부모가구를 위한 저렴한 임대주택 지원
  • 공공주택 지원: 신혼부부·한부모가족 대상 공공임대주택 제공
  • 주택자금대여 우대:
    • 보금자리론: 6억 원 이하 주택 구입 시 최대 4.8억 원까지 대출 가능
    • 전세자금대출: 수도권 7억 원, 지방 2억 원 이하 전세대출 시 우대금리 적용

📞 신청 방법: LH 한국토지주택공사(☎1600-1004)

4. 교육·취업 지원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교육과 취업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 학생 미혼모 대안교육 지원: 원적교 학적 유지 및 전국 위탁 교육 가능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구직 여성에게 취업 상담, 직업훈련, 창업 지원 제공
  • 자녀 교육비 지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의 고교 학비·급식비 지원
  •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청소년 대상 체험활동, 급식, 보충학습 지원
  • 국민취업지원제도:
    • 유형 Ⅰ: 월 50만 원 + 부양가족당 10만 원 추가 지급 (최대 6개월)
    • 유형 Ⅱ: 취업활동 비용 지원
  •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지원:
    • 국가장학금: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대학생 등록금 지원
    •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1.7% 금리 적용

📞 신청 방법: 여성새로일하기센터(☎1544-1199), 한국장학재단(www.kosaf.go.kr)

5. 금융·법률 지원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금융·법률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 지원: 양육비 청구, 친권·상속 관련 법률 상담 제공
  • 양육비 이행 확보 지원:
    • 양육비 이행 확보 상담 및 추심 지원
    • 2025년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 제도' 시행
  •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지원: 저소득 한부모가족 대상 세금 환급 지원
  • 미소금융 소액대출 지원: 한부모가족 대상 저금리 대출 지원
  • 디딤씨앗통장(아동발달지원계좌): 정부와 가정이 함께 저축하여 자립 자금 마련
  • 한부모가족 의료보험 지원: 소액보험 가입자 전액 보험료 지원

📞 신청 방법: 가족상담전화(☎1577-4206), 복지로(www.bokjiro.go.kr)

✅ 결론

2025년부터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자녀양육비 증가, 양육비 선지급 제도 도입, 공공주택 공급 확대, 교육·취업 지원 강화 등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다양한 정책이 시행됩니다.

📌 문의 및 신청: 가족상담전화(☎1577-4206), 복지로(www.bokjiro.go.kr),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

#한부모가족 #복지지원 #양육비지원 #한부모복지 #자녀교육비 #양육비선지급 #주거지원 #2025복지정책 #미혼모지원
반응형
LIST